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운전면허 갱신, 제때 안 하면 과태료에 면허 정지가 될 수 있습니다. 2025년부터 나이별로 달라진 갱신에 절차와 준비물 신청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

    아래의 버튼을 통해 도로안전교통 운전면허 갱신 신청을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나이별 운전면허 갱신 주기 (2025년 기준)

     

    운전면허는 한 번 취득하면 평생 사용하는 것이 아닙니다. 정해진 기간마다 갱신해야 하며, 이를 놓치면 면허가 정지되거나 취소될 수 있습니다. 특히 65세 이상부터는 갱신 주기가 짧아지고, 의무적으로 적성검사도 받아야 합니다.

     

    나이 갱신 주기 비고
    ~65세 미만 10년 (일반), 7년 (1종 보통) 1종은 더 자주 갱신
    65세 이상 ~ 70세 미만 5년 적성검사 의무
    70세 이상 3년 적성검사 의무, 고령운전자 교육 권장

     

     

    65세 이상 70세 미만

     

    건강검진 결과서 제출 대상자입니다. 건강검진은 보건소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.

    아래의 가까운 보건소에서 검진신청하세요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75세 이상

     

    운전면허 갱신 시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 이수가 필수 입니다.(2시간 교육)

     

    먼저, 아래의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에서  사전 신청하세요.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운전면허 갱신 준비물

    • 신분증 (주민등록증, 여권 등)
    • 운전면허증 (구 면허증)
    • 수수료 8,000원 내외
    • 사진 1매 (3.5cm x 4.5cm, 6개월 이내) / 배경 힌색
    • 건강검진 결과서 (65세 이상 필수, 보건소 가능)

     

    운전면허 갱신 신청 방법

     

    운전면허 갱신 신청은 온라인 및 현장 방문 신청이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1. 온라인으로 갱신 (65세 미만)

    도로교통공단 운전면허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'면허증 갱신 신청'을 클릭하세요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사진 업로드 및 수수료 결제 후, 등기우편으로 운전면허증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. 현장 방문 신청 (모든 연령 가능)

    가까운 운전면허시험장 또는 경찰서 민원실을 방문해 신청서를 작성하고 사진 제출, 수수료를 납부하면 현장 발급 또는 우편 수령이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운전면허시험장

     

     

    2025년 갱신 대상자는?

    • 2015년에 운전면허를 취득한 분 (10년 주기 → 2025년 갱신 대상)
    • 65세 이상 중 2020년 갱신했던 분 (5년 주기 → 2025년 갱신 대상)

     

    자주 묻는 질문 (FAQ)

     

    Q. 운전면서 갱신 기간을 놓쳤어요. 어떻게 하나요?

    A. 1년 이내라면 과태료 납부 후 갱신 가능, 1년 초과 시 운전면허 취소 대상입니다.

     

    Q. 운전면서 적성검사는 어디서 받나요?

    A. 지정 병원 또는 보건소에서 가능하며,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에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Q. 운전면허증 분실했는데 갱신 가능한가요?

    A. 가능합니다. 신분증과 사진만 있으면 운전면허 갱신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마무리하며

    운전면허 갱신은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닙니다. 안전운전을 위한 자기 점검의 기회이기도 합니다. 특히 40~60대 이상은 갱신 주기, 건강검진, 적성검사를 꼭 체크해 두셔야 합니다.